[에이블런] 디지털마케팅_새싹

[에이블런] Next Gen 디지털 마케팅 취업캠프 체인저스 광진3기 3주차 아홉번째 강의_SEO 마케팅

깔끼한 마케터 2024. 6. 19. 16:55

안녕하세요~!

3주차 아홉번째 강의가 시작되었는데요!

오늘 알아볼 주제는

 

SEO 마케팅

 

입니다!


고민해봐야할 것
  1. 부모님 상대로 아이교육 관련 정보성 콘텐츠를 제공하고싶다!
  2. 20대 직장인을 타겟으로 자기계발 관련 콘텐츠를 제공하고 싶어!
  3. 60대 이상 시니어 타겟으로 의료 정보성 콘텐츠를 제공하고싶어!

→ 타겟에 따라 검색 시 사용하는 웹사이트가 다르기 때문에 적합한 플랫폼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!

→ 경쟁사들이 SEO 마케팅을 하고 있는가?

 

SEO의 중요성

SEO 마케팅: 검색, 콘텐츠 확인, 설득, 구매전환

Paid 마케팅: 탐색, 콘텐츠 확인, 설득, 구매전환

ㄴ seo 마케팅은 콘텐츠 발행 후 추가 비용이 안듬

ㄴ seo 마케팅을 통해 유입된 유저는 브랜드에 대한 더 깊은 이해 + 애정을 가지고 있습니다

항상 검색 시에는 시크릿 창에서 검색할 것 → 로그인하고 검색하면 알고리즘이 내가 원하는 정보를 위로 띄워주기 때문

 

SEO 마케팅의 한계
  1. 검색결과 퀄리티의 저하
  2. AI의 출현으로 인해 미래의 검색엔진 포지션 불명확

 

SEO마케팅 사례

B2B: 기업과 기업간의 마케팅 

ㄴ 지속적인 트래픽 유입

B2C: 기업과 소비자간의 마케팅

ㄴ 퍼스널 브랜딩, 개인 거래를 위한 영업 콘텐츠 발행 등

ex)

마케팅 매체 사용법 정리

일하며 느낀점

 

CMS이란?

유저가 사용하기 쉬운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지털 콘텐츠를 생성 관리 수정 및 게시할 수 있도록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

→ 수요자와 공급자를 연결

→ 마케팅 디자인 개발 공수를 줄여줄 수 있는 플랫폼 선택 필수(or 개발로 커버 가능)

 

ex)

네이버 블로그 → 다른 블로그로 이탈하기 쉬움

티스토리 → 브랜드를 강조

브런치 → 에디터임을 강조

 

CMS의 종류

Webflow, wordpress, ghost, brunch, naver blog, medium, tistory

 

2개 키워드의 검색량이 더 많을가요?

텀블러 vs 차량용 텀블러

텀블러 → 검색결과: 웹사이트, 백과사전

차량용 텀블러 → 검색결과: 이미지, 쇼핑 사이트

 

키워드의 분류
  1. 검색량에 따라서
  2. 검색의도에 따라서 
  롱테일 키워드 숏테일 키워드
정의 검색 빈도수는 낮짐나 사용자의 구체적인 검색의도를 잘 반영 일반적이고 광범위한 기본적인 키워드
검색량 낮음 많음
경쟁강도 낮음 높음
검색의도 명확 불투명

→ 웹사이트 성장 단계에 따라 전략적으로 선택해야!

→ 롱테일 키워드 = 연관검색어



검색의도에 따른 키워드 분석

키워드에 포함된 단어들이 사용자의 구체적인의도를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지 분석

예) 치킨배달 → 구매의도 치킨레시피 → 정보 검색의도

 

키워드 추출 4가지 방법
  1. 키워드 분석 웹사이트 사용
  2. AI 활용(다만 부정확함) → 00마케팅 10년차 전문가로써 콘텐츠 마케터 포트폴리오 글을 쓰려고 하는데 키워드를 조사해줘. 아래 조건에 맞춰 답변을 정리해줘 <조건> 표형태로 작성
  3. 소비자 추적
  4. 경쟁사 전략 역추적

→ 타겟 분석

→ 마케터의 의사결정

 

테크니컬 SEO란
  • 검색엔진이 웹사이트를 더 잘 이해하고 효과적으로 크롤링 및 색인화 할 수 있도록 돕는 서버 단계의 최적화 기술
  • 내부 개발한 웹사이트를 사용하는 경우, CMS를 활용하는경우에 따라 난이도가 달라질 수 있음
검색엔진의 작동원리
  1. 크롤링 - 구글의 웹 크롤러 봇이 인터넷상의 웹페이지를 찾아다니며 새로운 콘텐츠를 발견하고 수집하는 과정.
  2. 색인화 - 크롤링을 통해 수집된 웹페이지 정보를 구글의 방대한 색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과정. 내용, 구조, 메타데이터 분석하여 체계적 정리
  3. 순위화 - 색인화된 웹페이지 중에서 사용자의 검색 쿼리와 가장 관련성이 높은 페이지 선별, 이를 순위화 하는 과정.

 

테크니컬 SEO: TO DO LIST
  1. 중복콘텐츠, 깨진 URL 관리 - 유저가 콘텐츠를 이용함에 불편함이 없도록 관리
  2. HTTPS 보안 프로토콜 사용 
SEO 친화적인 글쓰기
  1. 가독성
  2. 구글봇이 콘텐츠 내용을 파악하기 좋음

 

글쓰기 원칙

.1. 메인 키워드 선정 - 키워드 아이데이션 → 연관 키워드 확인, 키워드 관련성 및 검색량 확인 → 주제와 밀접한 키워드 선정 = 키워드가 자연스럽게 녹아있어야 유저는 내가 찾던 정보가 담긴 사이트”라고 인식

2. 메타태그 최적화 - 최적화 제목 태그 작성: 메인 키워드 포함, 흥미유발, 55자내외 간결, 텍스트 최적화(제작일, 작성자,저작권,배포자 등 사이트 및 포스팅)

  • H태그 활용하여 구조화 - 소제목으로 콘텐츠 구조화. 콘텐츠를 섹션으로 나누고 체계적으로 구성, 메인 키웓/연관(서브키워드) h2에 배치 필수. 가족성 높이기 짧은 문장과 단락 사용. 명확안 언어, 시각자료 활용, 글머리 기호, 번호
  • 슬러그 커스터마이징 - 콘텐츠내용을 담은 함축적 키워드를 활용, 콘텐츠 내용 암시
  • 내부 링크 및 외부링크 전략 - 내부링크 추가: 자신의 웹사이트 내 다른 관련 페이지로 연결 독자들을 유용한 콘텐츠로 안내 & 외부 링크 활용: 신뢰할 수 있는 외부 자료로 여겨질 수 있으며 링크 콘텐츠의 신뢰성과 권위향상

 

도메인 점수란
  • 검색 결과에서 해당 웹사이트가 얼마나 신뢰할만한지 나타내는 지표
  • 전반적인 신뢰도 중요도를 나타냄
  • 도메인 점수가 높을수록 상단에 배치
  • Performance: 웹페이지의 속도와 반응성 측정

ㄴ fcp: 사용자가 처음으로 콘텐츠를 볼 수 있게되는 시간

ㄴ LCP: 가장 큰 콘텐츠 요소가 로드되는 시간

ㄴ Speed index 페이지가 시각적으로 완전히 로드되는 속도

  • Accessibility: 웹페이지가 얼마나 접근성이 좋은지 측정하는 지표
  • Best practice: 웹표준과 모범사례를 얼마나 준수하고 있는지
  • SEO: 검색엔진 최적화 수준을 측정하는 지표
내 게시물에 반응해주는 진성 팔로워를 유치하는게 목표!

 

  • 콘텐츠 순위 파악 웹사이트 품질 파악 -- 라이트하우스
  • 콘텐츠 클릭율 → 서치콘솔
  • 퀄리티 → 구글 애널리틱스

 

SEO 문서 유출사건

검색결과 노출순위 기준이랑 공식가이드랑 달랐음

  1. 클릭 데이터의 중요성 → goodclicks/badclicks/lastLogestClicks와 같은 항목 중시
  2. 링크 빌딩 및 구조화 중요한 판단 기준 → 콘텐츠를 뭘 쓸건지 그 콘텐츠들끼리 어케 연결시킬것인지
  3. 도메인 권위가 높이면 상위 노출 가능성 높고, 신생 페이지는 구글 색인 순위 패널티가 부여 될 수 있음
  4. 클릭률 체류시간을 중요한 지표로 여김
  5. 구글은 저자 데이터 수집 저자 데이터 명시 필요
  6. 최신 콘텐츠를 중히 여김 (지속적인 업데이트 필요)
=> 유저가 오래 읽고 + 저장하고 싶어하는 가치있는 포스팅. 유저에게 도움되는 포스팅

 

SEO 글쓰기 실습
포스팅 기획, 키워드 전략 짜기

ㄴ 포스팅 주제

ㄴ 타겟

ㄴ 고객에게 전달할 가치

ㄴ 전환 목표

ㄴ 키워드 - 메인키워드 & 검색량 / 서브키워드 & 검색량 ….

ㄴ Slug 

ㄴ Meta title

ㄴ Meta description



Ai 활용 구글 검색 엔진은 좋아할까?

Eeat란?

  • Expertise - 전문성
  • Experience - 경험
  • Authoritative - 권위성
  • Trustworthiness - 신뢰성

= 구글은 늘 가이드 문서를 제공합니다

 

GPT가 써주는 글 괜찮을가?

Gpt 동작 방식 기존 데이터 학습 > 질문해석 > 데이터 기반 답변 작성

 

구글은 기존 포스팅과 유사한 포스팅을 싫어함

중복 포스팅으로 판정하고 가치가 낮은 사이트로 판정

= 에디토리얼 씽킹(모든것이 다 있는 시대의 창조적 사고법)

ㄴ fact는 GPT참고하되 정확한 판단 필요 + 나만의 해석 및 편집 덧붙여 재창조 필수!